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팁

용언의 특징: 본용언과 보조용언 띄어쓰기 그리고 동사와 형용사

by Pulinblog 2020. 12. 16.

용언, 동사, 형용사의 개념

동사와 형용사는 품사에 속하는 개념입니다.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해서 용언이라 일컫는데, 용언은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합니다.
 
한편, 동사는 주체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고,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동사와 형용사는 용언으로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지만 엄연히 다른 품사입니다.
본격적인 내용을 시작하기에 앞서, 아래는 관심있으실만한 기사이니 꼭 읽어보세요!
 

동사 vs 형용사

 

동사 형용사 구분법

동사나 형용사를 기본형(~다)로 바꾼 뒤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는-/-ㄴ-' 을 붙여봅시다. 이때, 자연스러운 것이 동사입니다. 예를들면 동사인 '먹다'에는 '먹는다'로 활용할 수 있지만 형용사인 '달다' 는 '달는다'가 될 수 없습니다.
 
동사에는 현재를 의미하는 관형사형 전성어미 '-는'이 붙을 수 있습니다. '먹는 사람’(먹다=동사)은 가능하지만 '달는 과일’(달다=형용사)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동사는 명령형과 청유형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먹어라', '먹을래?'는 가능하고 '달아라', '달래?'는 불가능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뒤에 '~고 있다'를 붙이는 것입니다.'먹고 있다'는 가능하고 '달고 있다'는 어색합니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본용언? 보조용언?

우리말에는 두가지의 용언이 함께 쓰이는 본용언+보조용언 형태의 표현이 많습니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띄어쓰기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들고 가다' '먹어 보다' 등의 표현이 그 예에 해당하는데, 여기서 '들고'와 '먹어'는 본용언/ '가다'와 '보다'는 보조 용언에 속합니다.
 
또한 보조용언 없이 '본용언 + 본용언' 나오는 경우도 많이 존재합니다. 지금부터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의미, 그리고 구분법, 띄어쓰기 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본용언은 주된 역할/ 보조 용언은 보충 역할

본용언이란 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하는 용언으로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습니다. 따라서 보조 용언은 본 용언과 연결되어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맡은 용언입니다.
 
  

'본용언 + 본용언' vs '본용언 + 보조 용언’ 구분법

본용언과 본용언 사이에는 '-서'나 다른 문장 성분이 끼어들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본용언 + 본용언인 '들고 가다'는 '들고서 가다'로 표현이 가능하지만, '먹어 버리다'는 '먹어서 버리다’라는 표현이 불가능합니다.
 
 

본용언과 보조용언 띄어쓰기

 
'본용언 + 본용언'의 구성은 반드시 띄어써야 한다. '들고가다' 대신 '들고 가다'가 올바른 띄어쓰기입니다.
 
'본용언 + 보조 용언'의 구성은 띄어써도 되고 붙여써도 된다. '먹어보다', '먹어 보다' 모두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본용언 + 보조 용언에서 반드시 띄어써야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본용언 + 보조 용언은 붙여써도 되고 띄어 써도 됩니다. 하지만 '본용언 + 보조 용언'의 구성에서 반드시 띄어써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조사가 개입된 경우입니다. '먹어보다'에 보조사 '만'이 개입되어 '먹어만보다'가 되면 반드시 띄어쓰기를 하여 '먹어만 보다'로 써야합니다.
 
두번째 경우는 앞말이 합성어일 때입니다. 예를 들어 '덤벼들어 보아라' 라는 표현은 반드시 띄어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덤벼들어'가 합성어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예외적으로 반드시 띄어써야 하는 이유는 붙여쓴 단어가 너무 길어져 불편함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관련 포스팅입니다. 중요한 내용이니 반드시 참고해주세요!

국어 품사와 문장성분 간단하고 쉬운 정리

체언의 특성과 범주와 명사, 대명사, 수사, 유정명사/무정명사 구분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