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취록 작성방법 양식 정보부터, 속기사와 음성인식 AI 비교

녹취록은 법적 증거로 활용되거나 중요한 대화 내용을 기록하는 데 필수적인 문서입니다. 특히 분쟁 해결이나 소송 과정에서 녹취록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녹취록을 작성할 때 어떤 형식이 필요한지, 속기사에게 맡겨야 하는지, 아니면 AI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거 제출용 녹취록 양식이 정해져 있는지 살펴보고, 녹취록 작성방법으로 속기사와 음성 인식 AI 기술(STT, Speech-to-Text) 중 어떤 방법이 적절한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또한 녹취록을 제출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의사항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녹취록 작성방법 대표 이미지

증거 제출용 녹취록 양식이 정해져 있을까?

법원에 제출하는 녹취록에는 공식적으로 정해진 양식은 없지만, 법적 효력을 높이기 위해 포함해야 할 필수 요소가 있습니다.

  1. 제목 기재
    • 문서 상단에 ‘녹취록’, ‘대화 내용 증명서’ 등의 제목을 넣습니다.
    • 사건 번호나 관련 내용을 간략히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녹음 일시 및 장소 명시
    • 녹음이 이루어진 정확한 날짜, 시간, 장소를 기록합니다.
    • 전화 녹음이라면 ‘2024년 2월 25일, A와 B의 전화 통화’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대화자 정보 기입
    • 대화에 참여한 모든 인원의 이름, 직위, 관계를 기재합니다.
    • 특정인인지 명확하게 하기 위해 ‘A(회사 대표) / B(고객)’와 같이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대화 내용 기록
    • 말한 내용을 그대로 기록하되, 화자별로 구분하여 표시합니다.
    • 예시)
      A: 계약 조건을 다시 확인하고 싶습니다.
      B: 네, 3월 1일부터 진행하는 것으로 합의했습니다.
  5. 타임스탬프 추가
    • 중요한 내용이 있는 경우 해당 시각을 표시하면 법원에서 확인하기 편리합니다.
    • 예시) [00:12:34] A: 해당 계약은 5년간 유효합니다.
  6. 녹음 방식 기재
    • 어떤 장비(스마트폰, 녹음기 등)를 사용하여 녹음했는지 명시해야 합니다.
    • 불법 녹음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본인이 직접 녹음한 경우 이를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7. 녹취록 작성자 서명 및 날짜
    • 녹취록을 작성한 사람이 서명하고, 문서를 완성한 날짜를 기록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면 법원에서 녹취록의 신뢰도를 높게 평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녹취록 작성방법: 속기사 vs 음성 인식 AI 기술(STT)

녹취록을 작성하는 방법에는 전문 속기사에게 맡기는 방법과 AI 음성 인식(STT)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1. 속기사에게 의뢰하는 경우
    • 장점
      • 법적 신뢰도가 높아 법원 제출용으로 적합합니다.
      • 사람이 직접 작성하기 때문에 오류가 적고 대화 분위기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비용이 발생하며, 작성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 일반적인 참고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2. 음성 인식 AI(STT) 기술 활용
    • 장점
      • 빠르게 녹취록을 작성할 수 있으며, 비용이 들지 않거나 저렴합니다.
      • 클로바노트(네이버), 오픈 AI의 위스퍼(Whisper) 등 AI 기술이 발달하여 높은 정확도를 자랑합니다.
    • 단점
      • 음성이 명확하지 않으면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화자의 감정이나 뉘앙스까지 정확히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법적 증거로 제출해야 하는 경우 속기사를 활용하는 것이 좋고, 내부 기록이나 참고용으로 녹취록을 작성하는 경우 AI 음성 인식(ST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녹취록 제출 시 주의할 점

녹취록을 법원에 제출할 때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1. 녹음 파일 원본과 함께 제출하기
    • 녹취록만 제출하면 조작 가능성이 있다는 의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원본 음성 파일을 함께 제출하면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음성 파일의 편집 여부 확인
    • 음성을 편집하거나 특정 부분을 삭제하면 증거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원본 그대로 제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합법적으로 녹음한 파일인지 확인하기
    • 한국에서는 대화 당사자가 직접 녹음하는 것은 합법이지만, 제3자가 몰래 녹음하면 불법이 될 수 있습니다.
    • 법원에서 녹취록을 증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녹음 과정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녹취록의 정확성 검토
    • 법원 제출 전, 오타나 누락된 부분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AI 음성 인식(STT)을 활용한 경우 사람이 직접 다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사항을 신경 쓴다면 녹취록의 신뢰도를 높이고, 법정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녹취록 작성방법에는 속기사를 활용하는 방법과 AI 음성 인식(STT)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법적 증거로 제출하려면 속기사에게 맡기는 것이 더 안전하며, 참고용으로 작성할 때는 클로바노트와 같은 AI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특히 녹취록을 작성할 때는 대화자 구분, 녹음 일시 및 장소, 타임스탬프 추가 등의 요소를 포함해야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법원 제출 시에는 반드시 녹음 원본 파일을 함께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녹취록이 중요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올바른 녹취록 작성방법을 숙지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